본문 바로가기
역사이야기

정약전에 대하여

by 호기심많은 부가옹 2023. 11. 14.

영화 자산어보를 보았다. 흑백으로 그려진 흑산도의 모습이 그 시대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처럼 오히려 생생하게 느껴지는 좋은 영화였다.

그러면서 정약전에 대해 궁금증이 생겼다. 내가 아는 수준에서는 정약용의 형제로 천주교를 믿어 흑산도로 귀양 간 것 정도였다.

 

정약전은 실학사상의 집대성자로 존경받는 정약용에게 깊은 영양을 끼친 형이자 학문적 동료로 평가받는다. 정약용이 유배 중에도 정약전과 서신을 나누고 학문적 의견을 주고받는 장면은 영화에서도 묘사된다.

 

1. 정약전의 일생

정약전은 1758(영조 34) 31일 경기도 광주 마현(馬峴) 출생이다. 본관은 나주로 자는 천전(天全), 호는 손암(巽庵), 연경재(硏經齋), 또는 매심(每心)이다. 부친은 진주목사를 지냈던 정재원(丁載遠)이었고, 모친은 해남 윤씨 윤두서(尹斗緖)의 손녀였다. 정재원은 부인을 두명 두었고 그 중 둘째 부인인 윤씨는 슬하에 31녀를 두었다. 그 중 장남이 정약전이다. 이복형으로는 정약현이 있고 두 동생이 약용과 약종이다. 누이는 조선 천주교 최초의 영세자였다. 이승훈의 아내였다.

 

정약전은 177618세 되던 해 부친을 따라 상경했고 이때 이윤하, 이승훈, 김원성과 교류하기 시작했다. 정약전은 네 살 차이나는 동생이지만 정약용과 매우 가깝게 지냈고 이는 정약용의 문집 곳곳에 나오는 정약전에 관한 기록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정약전은 서양의 학문과 사상에 빠져있던 남인 인사들과 특별히 친밀하게 지냈는데, 이들을 통해 천주교에 마음이 끌려 믿음을 가지게 되었다. 1777년 정조 1년부터는 서학을 공부하는 강학회가 경기도 여주 주어사에서 열렸는데 정약전도 여기에 참여하고 활동하기도 하였다.

 

1783(정조 7)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790년에는 문과에 응시하여 급제하였다.

 

2. 형제와의 우애

정약전은 정약용과 때로는 학문을 논하고 때로는 산수를 유람하며 많은 시간을 함께 보냈다. 1778(정조 2) 겨울 아버지가 화순 현감으로 있을 때에는 함께 동림사에서 학문의 즐거움에 대해 논하였다.

 

정약용과 정약전은 차례로 벼슬을 받아 함께 관리 생활을 하면서 깊은 신뢰를 쌓아갔고, 깊은 학문적 깊이로 정조의 총애를 받았다.

 

3. 율정에서의 이별

1784(정조 8) 정약전과 정약용은 사돈 이벽(맏형 정약현의 처남)에게 천주교 교리를 듣고 천주교에 심취하게 된다. 그리고 이벽에게서 <천주실의>등의 천주교 교리서를 빌려 읽으면서 천주교 신앙에 더욱 빠져들게 된다.

후에 두 형제가 천주교와 거리를 두게 된 후에도 반대파들은 한때 천주교에 몸담았던 그들의 행적을 집요하게 물고 늘어졌고, 정약전과 정약용을 아끼던 정조의 사망 후에는 그들의 탄압이 더욱 심해졌다.

1801(순조 1) 수렴청정을 하던 정순왕후가 천주교 금압령을 내렸다. 스승 권철신을 위신한 천주교 신자들이 사형에 처해졌고 정약전은 신지도에 정약용은 장기현으로 유배되었다. 이것이 바로 신유박해이다.

신유박해 이후 황사영의 백서 사건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두 형제는 더 험한 곳으로 유배지가 옮겨져, 정약전은 흑산도로, 정약용은 강진으로 이동한다. 정약용과 정약전은 함께 귀양길을 떠나 함께 출발하였으나 나주의 율정점에서 헤어져 각기 배소로 갔다. 여기서 영원한 이별을 나눈 것이다. 이들은 이후로 서신을 주고받았을 뿐 만나지는 못했다.

 

4. <자산어보>

우리나라 최초의 해양생물학 전문 서적으로 평가될 만큼 고증이 치밀한 책이다.

유배지에 유폐된 정약전과 정약용은 유배지에서 생활하면서도 각자 저술활동을 멈추지 않았고 자주 편지로 문안하였다.

정약전은 흑산도에서 직접 우리나라의 해양생물을 관찰하고 정리하였고, 각종 수산 동식물에 대한 명칭, 분포, 형태, 식용방법 등이 상세하게 기록돼있다. 이 책이 자산어보이다.

정약전은 이 책 서문에 섬 안에 창대라는 사람이 있는데 이분을 맞아 함께 묵으면서 물고기의 연구를 계속하였다라고 적어놓았다. 이글을 바탕으로 영화 자산어보는 전개된다.

<자산어보>를 저술하면서 정약전은 정약용에게 편지를 보냈다. 정약용도 자신이 지은 책을 정약전에게 보내 충고를 구했다.

 

5. 우이도에서 사망

바다를 사이에 두고 평생 서로를 그리워하던 두 형제는 우이도에서 만나고자 하였으나 섬 주민들의 반대로 이루지 못하고 두 번째 만남의 시도도 실패하게 되었다.

그러던 중 정약전은 1816(순조16) 우이도에서 사망하게 되었다.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희에 대해 알아보자  (0) 2023.11.17
문종에 대해 알아보자  (0) 2023.11.15
신립에 대하여  (0) 2023.11.10
김수로왕 신화에 대해  (0) 2023.11.09
신돈은 혁명가인가 요승인가  (0) 2023.11.08